[디지털 3.0] 대통령 IT 특별보좌관에 거는 기대 | ||||||||||
혁신과 기술의 힘으로 연방정부의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 국가의 정보가 안전하고도 열린 방식으로 다뤄지도록 하겠다는 오바마 대통령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이명박 대통령 지시로 청와대가 정보기술(IT) 특별보좌관 인선 작업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누가 이 자리를 맡을지에 업계 관심이 높다. IT 강국이란 면모에 걸맞게 한국 IT 특별보좌관은 미국 연방정부 CIO보다 더 큰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 IT 산업정책의 큰 틀을 잡는 방향타로서 기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한국은 반도체 휴대전화 등 하드웨어와 디바이스 분야를 비롯해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등 IT 인프라스트럭처 측면에서 이미 선진국을 압도하는 성적표를 자랑한다. 훌륭한 인프라스트럭처를 바탕으로 진화한 온라인 서비스는 거대 외국 IT기업들조차 놀랄 정도로 순발력을 자랑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IT산업을 거시적 관점에서 조망해 보면 뭔가 부족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것은 소프트웨어산업의 초라한 현실에서 비롯된다. 2008년 말 현재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약 9674억달러에 달한다. 반면 한국은 연간 소프트웨어 수출이 20억달러 안팎에 머무르고 있다.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휴대폰시장 점유율 2ㆍ3위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과 상당한 대조를 이룬다. 그동안 정부의 산업정책에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위한 조연으로 간주돼 온 인상이 짙다.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기 위해선 소수 정예인력 양성이 절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대학교육은 중저급 개발 인력 배출에만 집중돼 왔다. 이런 이유로 소프트웨어산업이 '지식집약'이 아닌 노동집약산업으로 의미가 퇴색돼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삼성경제연구소와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IT시장 성장률은 연평균 4%대인 반면 소프트웨어시장 성장률은 7%를 크게 웃돈다. IT산업 중심축이 소프트웨어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볼 때 그동안 한국 IT업계가 반도체와 휴대전화 등 하드웨어 분야에서 쌓아온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서도 소프트웨어산업 경쟁력 강화는 필수적이다. 소프트웨어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수한 인재들이 과감하게 소프트웨어산업에 투신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 소비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만 한다면,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둘 수 있는 분위기가 필요한 것이다. 아울러 국내에서 개발된 우수 소프트웨어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힘을 모아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글로벌 경제위기를 맞아 모든 산업 분야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기술융합과 상생협력이 더욱 가속되고 있다. 뛰어난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면 글로벌 기업의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 시장에 당당히 도전장을 내밀 수 있는 기회도 늘어나고 있다. 새롭게 선임될 IT 특별보좌관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한 하드웨어산업을 견인차 삼아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기업과 상생협력을 유도함으로써 '미래 지향적 IT산업' 기틀을 마련해줄 것을 기대한다. [김 제임스 우 MS코리아 사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T와 일반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오케스트라 지휘자는 (0) | 2010.09.08 |
---|---|
'호모디지쿠스'로 진화하라 (0) | 2010.09.08 |
정책투명성이 미디어시장 살린다 (0) | 2010.09.08 |
나눌수록 커지는 웹 생태계 (0) | 2010.09.08 |
IT-에너지를 스와핑하자 (0) | 201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