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를 못 볼 사주’였지만 어릴 적부터 사주, 타로, 운세 등에 관심이 없었다. 내가 사는 지역에 색깔 사주로 아주 유명하신 분이 계신다고 해도 보러 가고 싶은 생각이 없었고, 각기 다른 사람인데 ‘태어난 년, 월, 일, 시’로 그 사람의 인생을 알 수 있다는 것도 크게 믿지 않았다. 태어난 시간으로 인생이 결정되.. 풍수지리.명리 2019.09.23
1. Why - 내 삶에도 내비게이션이 있다면? 명을 텍스트로 삼고, 우주적 이치를 네비게이션으로 삼는 것 - 고미숙,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1. Why - 내 삶에도 내비게이션이 있다면? 설, 추석같은 명절에 고향을 오고갈 때 수시로 들여다보는 앱이 있습니다. 바로 내비게이션앱입니다. 내비게이션(이하 내비)은 현재 교통상황이 어.. 풍수지리.명리 2019.09.23
1. 사주명리학이란 1. 사주명리학이란 엄마 뱃속에서 나온 내가 울음을 터뜨리면서 페호흡을 막 시작하면 그때 천지의 시간성이 첫 숨과 함께 나의 몸(오장육부)에 새겨진다. 사주명리는 몸이 간직한 이 시간의 기운이 그 사람의 삶 전반에 작용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학문이다. 오장육부에 찍힌 시간적 기.. 풍수지리.명리 2019.09.23
'사주명리학이 내 고민에 답하다' 3부작의 마지막 편입니다 이제 '사주명리학이 내 고민에 답하다' 3부작의 마지막 편입니다. 첫번재 편에서는 왜 사주명리학이 '내 인생의 내비게이션'이 될 수 있는지 고민해 보았습니다. 두번째 편에서는 '나는 왜 소심한가'를 사주명리학 관점에서 풀어보았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나는 회사를 그만두고 독립.. 풍수지리.명리 2019.09.23
사주명리학의 기본 원리 이번 글에서는 사주명리학의 기본 원리를 정말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앞선 글들은 내 핵심고민 2가지를 사주명리학으로 풀어본 내용이었고, 이번에는 그러한 해석 로직을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1. Prologue : 미래의 누군가가 나에게 시그널을 준다면... 제가 좋아하는 주역의 글.. 풍수지리.명리 2019.09.23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10. 간지(干支)와 12띠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10. 간지(干支)와 12띠 이야기김상학 주주통신원l승인2016.02.03l수정2016.02.05 13:21 크게 작게 메일 인쇄 신고 [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 지 3년 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 풍수지리.명리 2019.08.09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9. 입춘맞이 3재풀이김상학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9. 입춘맞이 3재풀이김상학 주주통신원l승인2016.01.23l수정2016.01.26 10:33 크게 작게 메일 인쇄 신고 [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 지 3년 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양의 가.. 풍수지리.명리 2019.08.09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8. 丙申년 이야기김상학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8. 丙申년 이야기김상학 주주통신원l승인2016.01.11l수정2016.01.23 10:01 크게 작게 메일 인쇄 신고 [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 지 3년 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양의 가장 .. 풍수지리.명리 2019.08.09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7. 선무당 이야기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7. 선무당 이야기김상학 주주통신원l승인2015.12.29l수정2018.10.10 11:08 크게 작게 메일 인쇄 신고 [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 지 3년 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양의 가장 .. 풍수지리.명리 2019.08.09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6. 무녀(巫女) 김상학의 '쉬운 역학(易學)': 6. 무녀(巫女)이야기김상학 주주통신원l승인2015.12.13l수정2016.01.23 10:00 크게 작게 메일 인쇄 신고 [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지 3년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양의 가장.. 풍수지리.명리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