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 지 3년 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양의 가장 오래된 경전이란 뜻이죠. 주역은 유학에서 말하는 '삼경' 중 하나입니다. 원래 이름은 <역경>인데 '주(周)나라시대의 역(易)’이란 뜻에서 <주역>이라고 부릅니다. 얼마 전 한겨레 주주가 된 김상학 주주님은 현재 대학 교육원에서 주역 노자 장자 역학 등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요즘 동양철학 특히 주역에 대해 관심 갖는 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막상 호기심에 책을 들추면 너무 어려워 곧 덮어버리곤 할텐 데요. 이번 기회에 주역을 쉽게 접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김상학 주주의 '쉬운 역학(易學)'을 2주에 한 번 연재합니다.
4계절 24절기는 우주의 교향악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 교향악의 지휘자는 북두칠성(北斗七星)이 되지요. 비발디의 4계는 이 자연의 우주 교향곡에 비교하면 먼지 같은 인공의 생각 리듬이겠지요.
2016 병신년은 입춘(立春)일인 2월 4일 18시 45분부터 시작되네요. 1년으로 볼 때, 寅(木)월은 음력 1월이고 새해와 봄이 시작되지요. 그리고 寅시는 하루가 시작되는 03시 30분에서 05시 30분이지요.
한 해가 시작되는 입춘 절기에는 세시풍습의 행사가 많이 있네요. 보통 동지(冬至), 양력 12월 22일경(음력 11월 12일)에서 새해 대보름, 양력 2월 22일(음력 1월 15일)경까지에 우리들의 세시 풍습이 60%이상이 들어 있다네요.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도 이 사이에 있으니까 마땅히 다양한 행사가 따르겠지요.
입춘이 되면 새해를 상징하는 절후여서 입춘방(立春榜). 첩(帖) 붙이기, 보리뿌리 점보기, 입춘 팥죽, 입춘 공사, 입춘 굿 등 여러 행사가 있네요. 입춘 팥죽에는 새알심을 안 넣는다고 하지요. 특히 우리에게는 아래처럼 입춘방의 낯익은 글구들도 있지요. 입춘날 입춘시가 들 때 대문, 중문, 곳간문, 방문이나 대들보에 써 붙이는 글구로 대구(對句)와 단구(短句)가 있고, 입춘수 마시기. 선농제(先農祭). 오신채(五辛菜) 먹기 등 다양한 행사가 있네요.
▲ 절기상 봄에 들어서는 입춘인 4일 제주목 관아에서 탐라국 입춘굿이 열려 제주큰굿보존회가 본굿의 초감제를 집전하고 있다. 입춘굿은 탐라국 시대부터 입춘에 한 해 풍요를 기원하며 여는 제주 전통 행사다. 제주/연합뉴스(한겨레신문 자료사진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76958.html) |
立春大吉 建陽多慶(입춘대길 건양다경)
國泰民安 家給人足(국태민안 가급인족)
雨順風調 時和豊年(우순풍조 시화풍년) 등등......
입춘맞이 3재풀이 행사는 풍재, 수재, 화재 등 3재 8난(災難)에 대한 액막이 행사로 보면 되겠지요. 아래 <지지 3합> 1)번 해에 태어난 사람은 <방위 3합> 1)번 해가 3재해가 된다지요. 다시 말하면 원숭이, 쥐, 용띠인 사람들은 범, 토끼, 용해의 3년이 3재해가 된다는 것이네요.
지지 삼합년생이 방위 3합년도에 3재가 된다는 것이지요. 다시 예를 들면 <지지 3합> 3)번 해에 태어난 사람은 <방위 3합> 3)번 해가 3재년이 되는데, 범띠, 말띠, 개띠인 이 사람들은 신, 유, 술해, 곧 2016년 병신년, 2017년 정유년, 2018년 무술년, 3년 동안이 3재해가 된다는 것이지요. 첫 해는 들어오는 들삼재. 둘째 해는 머무는 잘삼재, 셋째 해는 나가는 날삼재로 본다네요. 날삼재 때가 가장 조심해야 한다지요.
<地支 3合>
1)신 자 진(申 子 辰) - 원숭이 쥐 용
2)해 묘 미(亥 卯 未) - 돼지 토끼 양
3)인 오 술(寅 午 戌) - 범 말 개
4)사 유 축(巳 酉 丑) - 뱀 닭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