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핫이슈
과거의 한자 세계에서 이 글자는 흔히 관현(管絃)이라는 의미가 강했다. 악기, 또는 그를 빌려 연주하는 음악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 글자가 지닌 원래의 큰 의미 중 하나는 문을 여는 데 필요한 ‘열쇠’다. 구체적으로는 장관(掌管)이라는 벼슬이 있었는데, 문을 열고 닫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다.
쇠로 잠금장치를 만드는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나무로 만든 잠금장치가 일반적으로 쓰였다. 그 안에 꽂아서 잠금장치를 푸는 긴 막대가 관이었다는 설명이다. 그 장치를 손에 쥐고 관리하는 사람이 곧 장관이다.
사람들이 타고 다니던 옛날 수레에도 바퀴가 달려있었다. 둥그런 바퀴를 차축(車軸)의 양쪽에 걸어야 수레가 움직인다. 그러나 바퀴에 차축을 고정시키는 데에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했다. 차축 양쪽에 금속으로 만든 덮개를 두른 다음 이를 차축에 뚫은 구멍에 고정시켜야 한다. 덮개와 차축에 난 구멍에 길쭉한 철심(鐵心)을 꽂아 넣는데, 이게 바로 할(轄)이다.
투할(投轄)이라는 고사(故事)가 있다. 서한(西漢) 때의 진준(陳遵)이라는 사람이 주인공이다. 술을 좋아했던 그는 손님들이 집에 돌아가 흥이 깨지는 것을 싫어했다. 그래서 집에 온 손님들의 수레에서 이 할을 뽑아 우물에 던졌다는 것이다.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손님들은 집에 가지 못하고 그와 어울릴 수밖에 없었다는 내용의 이야기다.
관과 할이라는 두 종류의 장치를 합쳐 만든 말이 관할(管轄)이다. 관은 ‘열어서 움직인다’는 뜻의 글자다. 그에 비해 할은 ‘멈춰서 고정시킨다’는 새김이다. 따라서 둘을 한데 엮어 읽으면 ‘나아감과 멈춤(行止)’의 뜻이다.
요즘의 관할은 ‘관청(官廳)의 권한이 미치는 범위’의 의미가 강하지만, 원래는 이렇듯 나아갈 때와 멈출 때를 잘 알아야 한다는 뜻의 단어다. 제가 해도 좋을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잘 가리는 일. 유엔에 서한을 발송해 대한민국의 국격을 망가뜨린 시민단체에 우선 들려주고 싶은 얘기다. 그 밖에도 이를 귀담아 들어야 할 사람은 많겠지만….
유광종 중국연구소 부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