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핫이슈
대개 윤리(倫理)라고 하면 고개를 먼저 젓는 사람이 많을 수 있다. 진부하다는 인상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이 지켜야 할 변치 않는 도리라는 것은 늘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것은 윤리라고도 부르고, 윤상(倫常)이라고 일컫는다.
윤(倫)은 ‘무리’라는 뜻이 일차적이다. 사람들이 섞여 사는 사회라는 함의(含意)도 있다. 상(常)은 변치 않는 원칙이라는 뜻이다. 흔히 경(經)과 상을 한데 섞어 경상(經常)이라고 적으면서 사람 사회에서 결코 변치 않는 원칙적인 도리를 지칭했다. 따라서 윤상이라고 한다면, 사람이 살아가면서 늘 지켜야 하는 원칙적인 자세를 말한다. 그런 윤상이 무너지고 지켜지지 않을 때 나오는 말이 패륜(悖倫)이다. ‘어긋나다, 어기다, 거스르다’는 뜻을 지닌 패(悖)가 앞에 붙었다.
조선의 실록(實錄)에는 이 패라는 글자가 자주 등장한다. ‘패역무도(悖逆無道)’는 특히 왕조의 질서를 혼란에 빠뜨리는 사람을 지칭한 말이다. ‘행패(行悖)를 부리다’ ‘패악(悖惡)질을 하다’는 말도 자주 쓰인다. 모두 사회의 근간을 뒤엎으려는 무질서를 경계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천안함 사건에 대한 감사원 조사 결과가 충격적이다. 군 수뇌부는 여러 가지 원칙적인 자세를 허물었다. 자리를 비우고, 진실을 왜곡·조작하려 했다. 사회의 근간인 안보의 일선을 책임진 사람으로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군신유의(君臣有義)’는 맹자(孟子)가 다섯 가지 윤상, 즉 오륜(五倫)을 말하면서 임금과 신하의 원칙적인 자세로 내세운 덕목이다. 요즘 식으로 말하자면 임금은 곧 국민이다. 국민에게 신하(관료)는 의를 다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 의라는 것은 제 직분을 한 치의 착오도 없이 수행해야 하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군 지휘부의 천안함 대응은 일종의 패륜이다. 지켜야 할 원칙을 져버렸으니 말이다. 군 지휘부만 그럴까. 다른 공직사회, 더 나아가 우리 사회 저변에도 그런 패륜적인 현상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것은 아닐까. 월드컵 승전보를 앞에 두고서도 떠올려지는 우려다.
유광종 중국연구소 부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