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의 모든 부위가 다 중요하겠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부위를 묻는 말입니다. 얼마 전 창원에서 튼튼마디한의원을 운영하는 황동국 원장과 이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뇌는 몸통서 뻗어나온 대행자에 불과
위·심장 등 뇌와 무관한 장기 튼튼히
아마 많은 사람은 ‘뇌(腦)’가 사고하고, 판단하고, 몸에 명령을 내리므로 진정한 몸의 주인답다고 생각할 겁니다. 그러나 뇌가 몸의 주인이라고 말하기에는 뭔가 석연치 않다는 게 황 원장과 필자의 공통된 의견이었습니다. 사실 수행을 오래 해 높은 경지에 이른 종교인이나 수행자들은 뇌가 우리 몸의 주인이 아니라는 사실을 진작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예컨대, 중국 당나라의 승려 영가(永嘉) 스님은 증도가(證道歌)에서 ‘오음부운공거래(五陰浮雲空去來: 오음의 육신도 뜬구름이라 할 일 없이 오고 간다)’라고 노래했습니다.
여기서 ‘오음’이란 우리의 몸을 말하는데, 몸 그 자체가 뜬구름처럼 사실은 실체가 없다는 걸 깨달았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이러한 깨달음의 깊이를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뇌가 우리 몸의 주인은 아닐 것이라는 사실은 달리 미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지렁이 같은 동물은 머리가 어디에 붙어있는지도 모르고, 물고기 정도로 진화해도 머리와 몸통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진화의 과정을 거치며 고등해질수록 머리는 몸통과 구분되며, 몸통 대비 뇌의 용량이 무거워집니다. 이 과정을 잘 살펴보면 원래 몸통이 주인이었고, 몸통이 자신의 안락한 삶을 위해 각고의 노력 끝에 머리를 키워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뇌는 주인공인 몸통에서 분화되어 위로 뻗어 나온 대행자에 불과합니다. 뇌의 지휘 하에 눈, 코, 귀, 입까지 열어 뇌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돕고 있으며 팔과 다리까지 붙여 기동력을 높였습니다. 지렁이, 말미잘, 해삼은 꿈도 꾸지 못할 정도의 진화입니다.
중년 이후 ‘제 2의 인생’을 건강하게 살려면 몸통의 건강을 잘 살펴야 합니다. 몸통 안에서 뇌의 명령을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각종 장기들을 소중하게 여겨야 튼튼하게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방법은 기회가 있을 때 전문가들의 자문을 얻어 ‘더,오래’에서 소개하겠습니다.
김국진 소선재 대표 bitkuni@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