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술, 맛, )

[더,오래] 김국진의 튼튼마디 백세인생(3) 인간이 타고 난 3대 신통력은?

ngo2002 2018. 5. 5. 16:53



[더,오래] 김국진의 튼튼마디 백세인생(3) 인간이 타고 난 3대 신통력은?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기자
김국진 사진김국진
 

호모 센테나리안. 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장수는 분명 축복이지만 건강 없이는 재앙이다. 강건한 마디(관절)와 음식물을 소화·배출하는 장기, 혈관 등 모든 기관과 정신이 건강해야만 행복한 노화를 맞이할 수 있다. 함께 공부하는 14명의 한의사와 함께 행노화(幸老化)의 방법을 제시한다. <편집자>

 
 
[중앙포토]

[중앙포토]

 

한의학계 파장 일으키고 있는 전창선 박사 '비수론'
땀 흘리고 호흡하고 똥오즘 누는 게 신통력 비법
몸의 생리를 이용한 치료여서 부작용 거의 없어

살면서 가장 행하기 어려운 보시(布施)가 두 가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돈이나 재물로 하는 보시고, 다른 하나는 몸으로 하는 보시입니다. 중국에서는 ‘돈, 돈, 돈, 목숨 같은 돈(錢, 錢, 錢, 命相連)’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지요.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요소들은 수없이 많겠지만 뭐니 뭐니 해도 머니(Money·돈)와 건강(몸)에 가장 집착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돈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재주가 없어 언급을 피하고 오늘은 건강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봅니다.
 
우리는 흔히 ‘신통력(神通力)’이라고 하면 유리겔라의 초능력이나 해리포터에 나오는 마법 같은 것을 떠올리지요. 무협지나 영화 같은 것을 하도 많이 봐서 그럴 겁니다. 하지만 중국 당나라 시대의 깨달은 선사 방거사(龐居士)는 “신통과 묘용(妙用)은 물을 길어 오고 땔나무를 해오는 일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보고, 듣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바로 신통한 힘입니다.    
 
 
튼튼마디한의원 설립자인 전창선 원장. [사진 김국진]

튼튼마디한의원 설립자인 전창선 원장. [사진 김국진]

 
저와 함께 경남 가조의 약산약초교육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한의사 전창선 박사(튼튼마디한의원 설립자·약산한의원장)가 최근 장장 10년에 걸쳐 집필한 600페이지짜리 의서 ‘비수론(肥瘦論·와이겔리)’을 출판해 한의학계에서는 제법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모양입니다. 전 박사가 주장하는 핵심은 우리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신통력’을 최대한 활용하면 병을 고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땀 흘리지 않고 살 수 있습니까? 호흡하지 않고 살 수 있습니까? 똥오줌 누지 않고 살 수 있습니까? 우리가 매일 땀



흘리고, 호흡하고, 똥오줌 누는 것이 바로 그 옛날 우리 선조들이 병을 고치는 데 사용했던 원시공법인 한토하삼법(汗吐下三法)이며, 이를 재조명하여 한방 치료에 적극 사용해야 한다는 게 전 박사가 ‘비수론’에서 주장하고 있는 핵심입니다.    
 
 
비수론 책 [사진 김국진]

비수론 책 [사진 김국진]

 
보수성이 강한 한의학계에서 ‘비수론’은 다소 도발적(?)인 의서입니다. 한의학의 바이블처럼 인식되고 있는 ‘상한론(傷寒論)’이나 ‘금궤요략(金櫃要略)’, ‘동의보감’의 틀을 벗어난 독자적인 시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창선 박사는 ‘비수론’에서 한의학의 치료 원리가 홍수와 가뭄을 다스리는 우왕(禹王)의 치수(治水)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고대 중국 하(夏)왕조의 시조인 우왕(禹王)이 치수를 할 때 강을 준설하고 샛강을 내는 방법으로 물을 다스렸는데, 그런 토목공사 방법이 몸에 그대로 응용되어 한의학의 치법인 한토하(汗吐下:병을 고치기 위해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하거나 설사를 하게 함) 삼법이 시작되었고, 한의학의 기본원리는 여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주장입니다.  
 
 
경남 거창 보해산 자락에 위치한 약산약초교육원에서 집필 중 망중한을 즐기고 있는 전창선 원장 [사진 김국진]

경남 거창 보해산 자락에 위치한 약산약초교육원에서 집필 중 망중한을 즐기고 있는 전창선 원장 [사진 김국진]

 
‘비수론’의 핵심적인 이론으로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한의사들이 환자를 진단할 때 변증(辨證)의 규거준승(規矩準繩)으로 삼는 소위 ‘팔강(八綱:음·양·표·리·한·열·허·실)’에, ‘비수(肥瘦:살이 찌고 마름)’와 ‘위기(胃氣)의 강약(强弱)’을 도입하자는 것입니다. 늘 착잡(錯雜)되어 헷갈리기 쉬운 표리한열허실(表裏寒熱虛實)의 육변(六變) 분별보다는, 형이하학적으로 확 드러나는 비수강약(肥瘦强弱) 판단이 쉽고 유용합니다.  
 
두 번째는, 임상에서 잊혀져가는 고대 원시공법인 한토하삼법(汗吐下三法)을 적극 부활시키자는 주장입니다. 전 박사는 세월이 흘렀다고 현대의 치료법이 고대 원시공법보다 발달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원시공법으로 돌아가자는 그의 주장을 들어봅시다.  
 
 
[중앙포토]

[중앙포토]

 
“고대 원시공법이란, 간단하고 적은 양의 약물을 이용하여 땀을 내고, 토하고, 설사를 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아주 원시적인 치료법이지만, 내 몸의 생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고 치료비가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단, 토하고 설사를 시키는 강력한 치료법이므로 한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지도 아래 진행해야합니다. 
 
서양의학이든 한의학이든 모든 치료법은 나름의 의미가 있으므로 치료법 간의 우열을 가리기보다는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몸은 평상 시에도 늘 한토하삼법을 통해 자정(自靜) 기능을 행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호흡하고 땀 흘리고, 똥 싸는 것이 모두 몸의 기능을 정상으로 돌려놓기 위한 자발적인 활동이지요.”    
 
사실 역사 속에서 위대한 원시공법(原始攻法)이 의료 전면에서 점차 후퇴한 이유는 ‘돈, 돈, 돈, 목숨 같은 돈(錢, 錢, 錢, 命相連)’ 때문이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직설적으로 말하면 일단 원시공법은 합당한 수가를 요구하기가 곤란합니다. 환자에게 의사가 노력하는 만큼의 대가를 요구하기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원시공법으로 병세가 호전되어도 환자 입장에서는 ‘토하고 설사시킨 것’으로 좋아졌다고는 잘 믿으려 하지 않습니다. 또한 토하고 설사를 시킬 때 한나절 몹시 힘든 것도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김국진 소선재 대표 bitkuni@naver.com

[출처: 중앙일보] [더,오래] 김국진의 튼튼마디 백세인생(3) 인간이 타고 난 3대 신통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