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홍근의 공부 미락]소진 합종 [신홍근의 공부 미락]소진 합종 소진은 전국시대의 동주 낙양사람이다. 스승을 찾아 멀리 제나라까지 가서 귀곡 선생에게 정치, 병법, 유세 등의 학문을 배웠다.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집과 전답을 팔아 수년간 천하제국을 돌며 유세를 하여 자신의 뜻을 펼치려 했지만 실의하고 무일푼 거지가 되어 ..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10.10
[신홍근의 공부 미락]세종 호학 [신홍근의 공부 미락]세종 호학 세종은 어린 시절부터 엄청난 분량의 다양한 책을 읽었다. 추위와 더위, 시와 때를 가리지 않고 밤새 글 읽기가 일쑤였다. 건강을 염려한 부왕 태종이 밤에 글 읽기를 금하였어도 몰래몰래 글을 읽었다.유학은 물론이고 역사, 법학, 천문, 음악, 의학 등 여러 방면에 걸쳐 ..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10.10
[신홍근의 공부 미락]형설지공(螢雪之功) [신홍근의 공부 미락]형설지공(螢雪之功) 형설은 ‘반딧불’과 ‘눈’을 말한다. 형설지공은 반딧불과 눈으로 글을 읽었다는 고사로, 고난을 딛고 공부하여 마침내 성공입신한 것을 이른다. 진나라의 차윤이란 사람이 있었다. 낮에는 힘들게 일하고 밤에 공부를 하고자 했으나 집안이 가난하여 등잔의..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10.10
[신홍근의 공부 미락]다산의 다작 비결은 인내 + 성실 + 집중 [신홍근의 공부 미락]다산의 다작 비결은 인내 + 성실 + 집중 목민심서의 다산 정약용은 공부의 명인이다. 귀양지 강진에서 다산은 열다섯의 황상을 만나 학문을 권한다. 그러나 황상은 자신의 둔하고 융통성 없음을 들어 사양한다. 이에 다산은 황상에게 “공부하는 사람에게 세 가지 병통이 있는데, ..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10.10
美 노령근로자 지원, 자기계발 연수 실시했더니 퇴직률 `뚝` 美 노령근로자 지원, 자기계발 연수 실시했더니 퇴직률 `뚝` 기사입력 2011.09.25 17:54:06 | 최종수정 2011.09.26 08:37:09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피트 카운티 메모리얼 병원은 시골 소도시에 자리 잡은 병원으로서는 대형 병원이다. 761개 병상에 간호사만 1783명에 이른다. 한때 이 병원은 고참 간호사들의 잇..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09.26
[이정우의 철학카페]형식적 원인 아닌 ‘탁월한 원인’을 찾자 [이정우의 철학카페]형식적 원인 아닌 ‘탁월한 원인’을 찾자 ‘탁월한 원인의 사유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체제 자체를 바꾸지 않고서는 오늘날의 혼란과 고통이 치유되기 어렵다’ ‘원인’이라는 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전문 용어로서 도입한 대표적인 용어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유명..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09.26
강신주의 장자는 장자가 아니다>에 대한 주석 <강신주의 장자는 장자가 아니다>에 대한 주석 강신주의 장자노자 해석 비판 2011/06/09 21:32 http://blog.naver.com/jaseng54/90115414230 ‘강신주의 장자 해석’에 대한 비판: 인신공격? / 2부, 주석 편 글쓴이: 노바당(blog.naver.com/jaseng54 노바당의 취미 생활) - 이 글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본문은 ..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08.29
[이정우의 철학카페] 10. 깨달음에 이르는 ‘역설적 익살 [이정우의 철학카페] 10. 깨달음에 이르는 ‘역설적 익살 한겨레21 / 2001년 12월 26일 제390호 이정우의 철학카페 10|선화(禪畵)의 의미 선의 예술은 열린 세계로 가는 우회로… 불이에 다가서는 형태 저편을 추구 사진 / 셋슈 도요(1420~1506)는 1476년 중국으로 건너가 선종을 공부하고 여행을 하며 송대희 회..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08.29
[이정우의 철학카페] 9. 죽음을 기억하라! [이정우의 철학카페] 9. 죽음을 기억하라! 한겨레21 / 2001년 12월 19일 제389호 이정우의 철학카페 9|죽음의 테마 중세의 존재론적 허무주의에서 근대의 이성적 합리주의로 사진 / 안토니오 데 페레다 <기사의 꿈> 152×217cm, 마드리드산페르난도 아카데미아. 삶의 허무와 죽음에 대한 공포는 시대에 따..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08.29
[이정우의 철학카페] 8. 상징의 해석에서 기호의 배치로 [이정우의 철학카페] 8. 상징의 해석에서 기호의 배치로 한겨레21 / 2001년 12월 12일 제388호 이정우의 철학카페 8|네덜란드 정물화 중세의 ‘신의 섭리’를 뛰어넘는 근세적 담론 공간의 탄생 사진 / 보스카르트 <벽감속의 꽃 정물화> 64×45cm 헤이그 미우리츠하위스 미술관. 어린아이들이 언어를 배.. 전문지식/공부미락 201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