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MP3 생산활동의 원리는? 물건을 구입하는 것은 쓴 돈보다 만족감이 더 크기 때문 | |
기사입력 2009.04.22 13:43:09 | ![]() ![]() ![]() |
◆차세대 경제교과서◆

◆ 오늘의 일기
= 아빠를 졸라서 MP3를 샀다. 너무 좋다. 친구들이 가지고 있던 MP3를 볼 때마다 너무 갖고 싶었다. 하지만 내 용돈으로 사려고 해도 비싸다는 것이 늘 마음에 걸렸다.
1년 동안 큰맘 먹고 용돈을 모았고, 엄마가 좀 보태 주셔서 살 수 있었다. 정말 행복하다. 그런데 이렇게 정밀하고 복잡한 기계를 누가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만약 내가 그 정도의 돈을 가지고 MP3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생각해 보면 참 어림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좋은 물건을 만들어 파는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오늘 밤에는 내가 좋아하는 가수들의 노래를 들으면서 잠을 잘 수 있다. 동방신기, 빅뱅 그리고 원더걸스….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 소비활동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살 때 누구나 기분이 좋아진다. 비록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을 써야 하지만, 쓴 돈보다 최소한 더 많은 만족감이 있기 때문이다. 가끔 학생들은 부모가 사 주는 물건에 대해서는 돈이 아깝다는 생각을 한다. 반면 자신이 갖고 싶은 것을 살 돈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그것은 학생 자신이 소비 주체가 아니라 부모가 학생을 대신해서 소비의 만족도를 계산하고 구입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즉 학생들은 당장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나 친구들과의 관계를 고려해 필요한 물건을 사고 싶어 하지만, 부모는 학생들의 장래와 공부에 필요한 책이나 학습지 같은 것에 돈을 쓰고 싶어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돈을 내고 소비를 한다.
즉 돈을 가지고 있다가 여러 물건이나 서비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기꺼이 가지고 있던 돈을 포기하고 구매한다.
하나의 물건을 구입하는 대가로 돈을 써 버렸기 때문에 나중에 다른 물건을 살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사고서 후회하는 소비활동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신중하게 물건을 고르려고 노력한다.
= 아빠를 졸라서 MP3를 샀다. 너무 좋다. 친구들이 가지고 있던 MP3를 볼 때마다 너무 갖고 싶었다. 하지만 내 용돈으로 사려고 해도 비싸다는 것이 늘 마음에 걸렸다.
1년 동안 큰맘 먹고 용돈을 모았고, 엄마가 좀 보태 주셔서 살 수 있었다. 정말 행복하다. 그런데 이렇게 정밀하고 복잡한 기계를 누가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만약 내가 그 정도의 돈을 가지고 MP3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생각해 보면 참 어림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좋은 물건을 만들어 파는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오늘 밤에는 내가 좋아하는 가수들의 노래를 들으면서 잠을 잘 수 있다. 동방신기, 빅뱅 그리고 원더걸스….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 소비활동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살 때 누구나 기분이 좋아진다. 비록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을 써야 하지만, 쓴 돈보다 최소한 더 많은 만족감이 있기 때문이다. 가끔 학생들은 부모가 사 주는 물건에 대해서는 돈이 아깝다는 생각을 한다. 반면 자신이 갖고 싶은 것을 살 돈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그것은 학생 자신이 소비 주체가 아니라 부모가 학생을 대신해서 소비의 만족도를 계산하고 구입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즉 학생들은 당장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나 친구들과의 관계를 고려해 필요한 물건을 사고 싶어 하지만, 부모는 학생들의 장래와 공부에 필요한 책이나 학습지 같은 것에 돈을 쓰고 싶어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돈을 내고 소비를 한다.
즉 돈을 가지고 있다가 여러 물건이나 서비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기꺼이 가지고 있던 돈을 포기하고 구매한다.
하나의 물건을 구입하는 대가로 돈을 써 버렸기 때문에 나중에 다른 물건을 살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사고서 후회하는 소비활동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신중하게 물건을 고르려고 노력한다.

◆ 생산활동
= 사람들은 주로 소비활동을 많이 하지만, 그런 소비활동은 생산활동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누군가는 만들어 팔아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만들어 파는 행위를 생산활동이라고 한다.
모든 사람이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 학생들은 성년이 되기까지 주로 소비활동을 한다. 생산활동은 주로 부모님처럼 어른이 맡는다.
MP3를 멋있어 보이게 만드는 디자이너, MP3 기능을 편리하게 개발하는 연구원, MP3의 전자회로를 설계하는 엔지니어, MP3를 제조하는 근로자, MP3를 TV에 나와 광고하는 연예인, MP3를 판매하는 세일즈맨, 이들 모두가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현대사회에서 물건을 만들어 파는 사람들은 전문적이게 마련이다.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입맛을 맞추고, 유행이나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는 상품을 만들어야 소비자들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는 물건을 만든다면 그런 생산활동은 유지되기 어렵다. 소비자가 선택하는 물건을 만드는 기업과 그런 물건을 파는 가게만이 계속해서 생산활동을 할 수 있다.
◆ 분배활동
= 누구나 생산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소득을 얻을 수 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지식, 노동력을 제공하기도 하고 토지나 자본 같은 자원을 제공하는 대가로 돈을 벌 수 있다.
이처럼 생산활동에 생산요소를 제공하고 그 기여한 만큼 소득으로 대가를 얻는 것을 분배활동이라고 한다.
= 사람들은 주로 소비활동을 많이 하지만, 그런 소비활동은 생산활동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누군가는 만들어 팔아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만들어 파는 행위를 생산활동이라고 한다.
모든 사람이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 학생들은 성년이 되기까지 주로 소비활동을 한다. 생산활동은 주로 부모님처럼 어른이 맡는다.
MP3를 멋있어 보이게 만드는 디자이너, MP3 기능을 편리하게 개발하는 연구원, MP3의 전자회로를 설계하는 엔지니어, MP3를 제조하는 근로자, MP3를 TV에 나와 광고하는 연예인, MP3를 판매하는 세일즈맨, 이들 모두가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현대사회에서 물건을 만들어 파는 사람들은 전문적이게 마련이다.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입맛을 맞추고, 유행이나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는 상품을 만들어야 소비자들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는 물건을 만든다면 그런 생산활동은 유지되기 어렵다. 소비자가 선택하는 물건을 만드는 기업과 그런 물건을 파는 가게만이 계속해서 생산활동을 할 수 있다.
◆ 분배활동
= 누구나 생산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소득을 얻을 수 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지식, 노동력을 제공하기도 하고 토지나 자본 같은 자원을 제공하는 대가로 돈을 벌 수 있다.
이처럼 생산활동에 생산요소를 제공하고 그 기여한 만큼 소득으로 대가를 얻는 것을 분배활동이라고 한다.

학생들이 부모에게서 받는 용돈은 일해서 받는 소득과는 달리 부모가 벌어 놓은 돈을 이전받는 행위다. 만약 집 안 청소를 하고 가사를 돕는 대가로 용돈을 더 받는다면 그것은 소득으로 분배활동에 참여한 것으로 봐도 좋다.
보통 사람들은 기업에서 제공하는 일자리를 통해 소득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별히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는 노래, 토크, 연극, 운동을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활동에 대한 대가를 얻기도 한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대외협력 실장·경제학 박사 csn@cfe.org]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통 사람들은 기업에서 제공하는 일자리를 통해 소득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별히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는 노래, 토크, 연극, 운동을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활동에 대한 대가를 얻기도 한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대외협력 실장·경제학 박사 csn@cfe.org]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와 일반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경제교과서 (2) 희소해서 생기는 경제문제 (0) | 2010.09.10 |
---|---|
경제 모른다고?…車타고 쇼핑하고 다 경제죠 (0) | 2010.09.10 |
확 바뀌는 틴 매일경제 청소년 경제교육 멘토로 (0) | 2010.09.10 |
확 바뀌는 틴 매일경제 청소년 경제교육 멘토로 (0) | 2010.09.10 |
소셜네트워크 세상 `경희 SNS 소통광장` 개설 (0) | 201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