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도 부족함 느끼죠…모든걸 다 가질순 없기에 | |||||||||||||||||||||||||||
재화ㆍ자원ㆍ시간은 유한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꼭 필요한 것만 선택하고 나머지는 포기할 수밖에 없어 | |||||||||||||||||||||||||||
◆차세대 경제교과서 (2) 희소해서 생기는 경제문제◆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 26쪽> [읽기자료(2)]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모두 다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더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를 선택해야 한다. 동시에 사람들은 만족이 적을 것이라고 여겨지거나, 가질 수 없다고 생각되는 재화나 서비스를 포기해야 한다. 소득이 적은 사람은 식량과 난방을 놓고 선택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자동차와 텔레비전을 놓고 선택해야 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모두 다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결국 사람들이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희소성 때문이다. 기업도 희소성 때문에 선택해야 한다. 컴퓨터를 만드는 데 사용한 생산요소는 휴대전화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은 생산할 물건을 선택해야 한다. 정부 역시 보유하고 있는 땅에 학교를 짓는다고 하면, 그 땅에 공원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 27쪽>
그렇다고 가지고 싶은 물건을 모두 갖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다. 누구나 부족하게 느끼고 만족하기 어렵다. 심지어 부자라고 해서 풍족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부자도 부족하다고 느낀다. 더 좋은 옷, 더 좋은 집, 더 좋은 자동차처럼 계속해서 더 많은 것을 원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욕망은 무한하고 우리 현실에서 존재하는 재화, 자원, 시간은 유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희소성의 문제가 바로 경제문제의 핵심이다. 경제는 부족하다고 느끼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누가 만들고, 누가 소비하며, 누구에게 나눌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 |||||||||||||||||||||||||||
사람들이 느끼는 희소성의 정도는 다양하다. 보통 사람들에게 물은 그렇게 부족하게 느낄 정도는 아니다. 운동을 하다가 마시는 물은 그야말로 꿀맛이겠지만, 주변에 물이 흔하다면 많은 돈을 지불하려 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물 없이 하루도 살기 어렵지만, 그렇게 많은 돈을 지불하지 않는다. 이것은 그만큼 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막 한 복판을 통과해야 하는 사람에게 물은 귀중하고 희소하다. 충분히 사례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할 것이다. 다이아몬드는 흔하지 않은 희소한 자원이다. 그러다 보니 비싸다. 우리에게 장식품으로 가치가 있기는 하지만, 다이아몬드가 없다고 해서 생활에 불편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다보니, 가격이 비싸지게 마련이다. 사람들은 가지고 싶어 하는데,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 유한하다는 의미는 누구나 어떤 것은 선택하고 어떤 것은 포기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자산 또는 소득의 범위 내에서 꼭 필요한 것을 선택해야 되지, 가지고 싶다고 해서 생각없이 마구 사다 보면 꼭 필요한 것을 가질 수 없는 상태가 된다는 말이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최승노 자유기업원 대외협력실장ㆍ경제학 박사 csn@cfe.org]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T와 일반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경제교과서 / ④ 더 잘하는 일에 전념하는 분업사회 (0) | 2010.09.10 |
---|---|
◆③ 기회비용 생각해야 합리적 선택 가능 (0) | 2010.09.10 |
경제 모른다고?…車타고 쇼핑하고 다 경제죠 (0) | 2010.09.10 |
내가 좋아하는 MP3 생산활동의 원리는? (0) | 2010.09.10 |
확 바뀌는 틴 매일경제 청소년 경제교육 멘토로 (0) | 201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