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핫이슈
중국 청(淸)나라의 화가 겸 서예가로 유명한 정섭(鄭燮·1693~1765, 호 판교·板橋)의 글이다. 위 구절은 중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사자성어인 ‘난득호도(難得糊塗)’에 대한 부연 설명이다. ‘난득호도’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어리숙해 보이는 게 어렵다’는 뜻이다. 겉과 속이 다르고 쉽게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중국인들의 입맛에 꼭 맞는 성어다. 이 말이 나온 유래는 다음과 같다.
산둥(山東)성의 지방관리로 근무하던 정판교는 어느 날 먼 친척 형으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편지에는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가옥의 담장을 놓고 이웃과 송사가 벌어졌으니 지방관에게 잘 봐달라는 편지 한 통을 써달라는 청탁이 적혀 있었다. 정판교는 편지를 다 읽은 뒤 시 한 수를 답장 대신 보냈다.
“천 리나 편지를 보낸 것이 담장 하나 때문인가? 그에게 몇 자를 양보하면 또 어떤가? 만리장성은 아직도 남아 있는데 어찌 진시황은 보이질 않는가(千里捎書爲一牆, 讓他幾尺又何妨? 萬里長城今猶在, 不見當年秦始皇).”
그는 이 시와 함께 ‘난득호도’와 ‘흘휴시복(吃虧是福·손해를 보는 것이 곧 복이다)’이라 직접 쓴 편액을 함께 친척에게 보냈다. “가득 차면 덜어지게 되어 있고(滿者損之機), 비어 있으면 점점 차게 되어 있다(虧者盈之漸). 내가 손해를 보면 다른 사람이 이익을 본다(損於己則盈於彼). 그러면 각자 심정의 절반씩을 얻는 것이다(各得心情之半). 나는 마음이 편안해 지는 것을 얻게 되니(而得我心安卽平), 이 어찌 바로 복 받을 때가 아니겠는가(且安福卽在時矣).” 흘휴시복의 해석이다.
한국은 중국과 달리 재산이 많고 배운 것이 많아도 실력과 재물을 감추고 자신을 낮춰 어수룩하게 행동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지 않는다. 이번 지방선거로 민심의 매서움이 드러났다. 당선자들은 낙선자의 공약도 되새겨보고 자신의 약속이라도 한 수 양보하고 조금 손해보는 정치를 펼쳐보기 바란다.
신경진 중국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