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화

[文정부 3년] ④ 역대 정부 최고 국정지지도..힘 받는 '위기 리더십'

ngo2002 2020. 5. 7. 08:21

 

설승은 입력 2020.05.07. 06:01 댓글 641

자동요약

집권 3돌을 맞은 문재인 정부는 같은 시기를 기준으로 과거 역대 정권 중 가장 높은 국정 지지도를 유지하고 있다. 역시 갤럽 조사를 토대로 노태우 정권 이후 역대 정권의 같은 시기(집권 4년차 1분기) 국정 지지도를 비교해보면 가장 높은 수치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집권 4년차 1분기 기준 50% 이상의 국정지지도를 얻은 것은 문 대통령이 처음"이라며 "보통 부정평가가 더 높을 시기인데 코로나19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집권 '4년차 1분기' 국정지지도 60%..코로나19 대처 호평 영향
같은시기 이명박 정권 43%·김영삼 정권 41%·박근혜 정권 40% 순

문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집권 3돌을 맞은 문재인 정부는 같은 시기를 기준으로 과거 역대 정권 중 가장 높은 국정 지지도를 유지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정권 후반기에 들어섰음에도 불구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호평에 힘입어 최근 국정 지지도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이같은 추세가 당분간 계속된다면 남은 2년 간의 국정운영에도 계속해서 힘이 실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7일 한국갤럽의 역대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집권 4년차 1분기이자 4월 통합 기준 문 대통령 국정지지도(직무 수행 긍정평가)는 60%로 집계됐다.

역시 갤럽 조사를 토대로 노태우 정권 이후 역대 정권의 같은 시기(집권 4년차 1분기) 국정 지지도를 비교해보면 가장 높은 수치다.

앞선 정권에서는 정권 후반기에 본격 들어선 집권 4년차에는 국정 지지도가 50%를 넘어선 사례가 없었다.

이전 정권에서는 같은 시기 국정 지지도가 이명박 정권이 43%로 가장 높았다.

이어 김영삼 정권 41%, 박근혜 정권 40% 순이었고 김대중·노무현 정권은 나란히 27%를 얻었다. 노태우 정권은 12%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권 후반기인데도 문 대통령이 이같이 압도적으로 높은 국정 지지도를 보이는 것은 코로나19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직무수행 긍정 평가 사유를 봐도 절반 이상이 '코로나19 대처'를 꼽고 있다.

문 대통령의 집권 3년차 국정 지지도를 보면 1분기(작년 4∼6월) 45%, 2분기(작년 7∼9월) 45%, 3분기(작년 10∼12월) 44%, 4분기(지난 1∼3월) 46%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본격적으로 안정화 될 무렵인 지난달 국정지지도는 60%로 직전 분기보다 14%포인트나 뛰어오른 것을 보면 코로나19 덕을 톡톡히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집권 4년차 1분기 기준 50% 이상의 국정지지도를 얻은 것은 문 대통령이 처음"이라며 "보통 부정평가가 더 높을 시기인데 코로나19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취임 초기에도 역대 최고 국정 지지도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갤럽에 따르면 집권 첫달인 2017년 6월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81%로 역대 대통령중 가장 높았다.

이 시기에는 역대 대통령 중에선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이 71%의 국정 지지도를 기록했고 노무현 전 대통령 60%, 이명박 전 대통령 52% 등을 기록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42%, 노태우 전 대통령은 29%를 각각 얻었다.

집권 4년차 1분기 역대 대통령 직무 수행평가 [한국갤럽 제공]

취임 8일 앞둔 지난 1일 발표된 조사에서는(지난달 28∼29일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9주 연속 상승해 64%를 기록, 지난 2018년 10월 둘째 주(65%) 이후 1년 6개월여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 바 있다.

일단은 코로나19 방역이 어느정도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와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지만,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파가 현실화 되었을 경우 여론 추이에 변곡점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다.

민생 경제는 물론 기간 산업까지도 큰 타격을 받은 상황 속 정부가 경제적 충격을 얼마나 최소화하느냐와 함께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는 '2차 대유행'에도 얼마나 잘 대처하는지 등이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여론조사 개요 및 결과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ses@yna.co.kr

관련 태그

연재 더보기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