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회에선 물의 깊고 낮음과 모이고 흩어짐에 따른 운을 설명했다. 이번 회에는 물이 발원하고 터 앞에 당도하고 물이 터에서 다시 나가는 `조수`(朝水)에 대한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풍수가 오공(吳公)이 말하기를 "물이 짧게 들어와 길게 나가면 역량이 없다" 하였다. 물이란 오는 물(수입)이 많고 나가는 물(지출)은 적어야 한다. 많은 수입에 적게 나가니 득복(得福)하는 것이지 반대로 적게 들어와 많이 나가면 가정의 환난을 면하지 못함이다. 물이 터 앞에 당도함에 있어서도 양쪽 물이 터에 도달해 옷깃과 같이 합류하는 곳은 부가 발생하고 귀인의 출생이 많은 지역이다. 아니면 한 변의 물만 터에 도달하여도 된다. 도전적으로 치고 나가거나 터 앞에 도달해도 흩어져 흘러 지나가면 좋지 않다. 물이 나가는 출구는 반드시 고리처럼 굽고 구불거리며 우회하며 깊게 모여야 한다. 얕은 물, 일직선으로 빤히 보이는 물, 빠른 물 등으로 나가는 것은 불길하다. 강이나 시내가 쭉 직선으로 나가거나 급하게 나가며 그 기세가 호탕하면서 넓게 흐르면 진실한 기운을 안에 모으기 힘들어 부적당하다. 풍수에서 조수(朝水)란 터(용혈) 앞으로 순수히 와서 포옹하듯이 껴안는 물을 말한다. 풍수에서 최고 터로 치는 `역수용혈`(逆水龍穴)이라는 것은 물과 터가 역(逆)으로 만남을 말함이다. 이것은 물과 터가 태극 모양으로 얽혀서 물이 왼쪽(오른쪽)으로 돌면서 터는 오른쪽(왼쪽)으로 돌아 서로 안아 싸고 도는 모양을 말한다. 터 앞으로 들어오는 물은 필히 이리저리 꺾이고 구부러진 듯하여 물굽이가 구부러지며 물이 급하지 않고 듬직하여 유유히 완만하게 흘러야만 길수(吉水)가 된다. 혈의 정면에서 빠르고 사나운 물이 직충하고 쏘아붙이는 것은 도리어 살이 되어 대흉(大凶)한 것이다. 풍수 고전으로 유명한 설심부에서 이르기를 "물과 산이 서로 사귀어 빗장처럼 닫히고 조직적이며 융결(融結)된 길수(吉水)를 구하고 구곡수(九曲水)가 터로 들어오면 당대에 재상이 난다"고 했다. 이것은 모두 굴곡하며 유정한 것을 풍수에서 최고로 삼는다는 의미다. 또 "작은 물이라도 터 앞에 도달하면 능히 가난을 구해내고 넘치는 듯 조용한 큰 물이 터 앞에서 터를 껴안는 듯하면 대대로 관작이 난다"고 했다. 관직을 빨리 얻고 부자가 속히 되고 싶은 분은 이런 땅을 얻어 이론을 실제 증명해 봄직하다. [김민철 건국대학교 부동산아카데미 지도교수][ⓒ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