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먹고 노는 '픽미세대' 약진..2017년 키워드는 치킨 런
'각자도생' 등 10가지 특징 꼽아지금을 만끽하려는 욕구 강해져경험이 경쟁력이자 상품으로다음·코트라는 '재미있는 소비' 꼽아중앙일보 이지영 입력 2016.11.01. 01:04 수정 2016.11.01. 07:18
김난도 교수 내년 트렌드 전망
![2017년 소비 트렌드를 설명하는 김난도 서울대 교수. [사진 미래의창]](http://t1.daumcdn.net/news/201611/01/joongang/20161101012604908fzau.jpg)


이러한 자기지향적 트렌드는 ‘한 번뿐인 인생(You only Live once)’, 지금 이 순간을 만끽하자는 ‘욜로(YOLO)’라이프와 ▶업그레이드된 제품의 가치를 즐기는 ‘B+ 프리미엄’ ▶혼자 먹고 혼자 노는 1인 소비 ‘1코노미’ ▶경험이 곧 경쟁력이자 상품이 되는 ‘경험 is 뭔들’ 등의 트렌드와 연결된다.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가치가 재평가받는 현상도 나타난다. ▶소비자가 구매를 결정하는 ‘진실의 순간’을 이끌어낼 힘은 결국 사람에게 있다는 ‘영업의 시대가 온다’ ▶소비자의 작고 사소한 요구가 점점 중요해지는 ‘소비자가 만드는 수요중심시장’ 등의 트렌드다. 이 밖에 ▶보이지 않는 배려기술 ‘캄 테크’와 ▶최근의 공간 정리 바람과 연관된 ‘버려야 산다’도 ‘2017 트렌드’로 꼽혔다.
김 교수는 현재 대한민국의 20대를 ‘픽미세대’라고 정의했다. “‘나를 선택해 달라’는 간절함을 가슴에 품고 사는 세대, 단군 이래 최고의 스펙을 갖췄지만 선택받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뚫어야 하는 고단한 세대”란 의미를 담았다. 이들 픽미세대의 특징은 ▶디지털 모바일 네이티브 세대로 ▶저성장기에 어른이 돼 ‘학습된 무기력’ 상태에 빠져있고 ▶공유에 익숙해 실속 있는 소비에 집중하며 ▶가벼움과 유머를 미덕으로 여기고 ▶기성세대가 주입한 가치관을 거부하지만 ▶위험한 모험보다는 소박한 안정을 선호하며 ▶정치성향은 종잡을 수 없는 양상을 보인다. 김 교수는 “이들은 소비 패러다임을 바꾸는 주역인 동시에 사회 변화의 중심 세력으로서 대선이 있는 2017년 가장 주목받는 연령층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브랜드보다 가성비 추구”=다음소프트가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해 뽑아낸 『2017 트렌드 노트』(북스톤), 리서치 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이 펴낸 『2017 대한민국 트렌드』(한국경제신문), 코트라(KOTRA)가 전세계 86개국 주재원들의 취재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2017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알키) 등도 나왔다. 이들 책이 전망한 2017년은 명분(브랜드)보다 실리(가성비)를 추구하고, 장기적인 미래 계획보다는 현재 느끼는 ‘즉시적 행복’을 중요시하는 사회다. 또 의무감이 아닌 재미감을 따라 ‘덕질’을 하고, 마카롱·양말 등 ‘작은 선물’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코트라가 밝힌 세계 시장의 소비 트렌드 역시 ‘데일리 디톡스(일상에서 찾는 휴식)’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 ‘맞춤형 휴가’ ‘이터테인먼트(eatertainment·식사 그 이상)’ 등으로 소소한 생활 속 만족을 지향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지영 기자 jylee@joongang.co.kr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뉴스] 전통 시장의 재탄생 ‘1913 송정역 시장’ (0) | 2016.11.17 |
---|---|
한국 기업의 혁신이 어려운 이유 (0) | 2016.11.10 |
ECB '디플레이션 총알'은 피했다… 양적완화 생각보다 빨리 마칠 수 있을 것 (0) | 2016.10.21 |
날은 저무는데… 브릭스, 태양은 내일 다시 뜰 것인가 (0) | 2016.10.21 |
[Weekly BIZ] 경제학 설전 五國志 (0) | 2016.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