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받는 집과 전원주택 - (3) 대문과 현관 |
작성자 : 고제희 등록일 : 2006.02.24 조회수 : 4384 |
1.대문과 현관의 중요성 [사진 : 솟을 대문 ]
대문은 주택을 외부와 경계짓는 역할을 하며, 풍수적으로 집 내부로 기(공기)가 출입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집을 지을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그러나 문제는 담에 따라 대문의 중요성은 달라지기도 하는데 있다.
개방형 담의 경우라면 기는 집의 사방에서 출입함으로 기의 통로로써 대문의 역할은 감소되고, 밀폐형 담장이라면 대문만이 오로지 기의 통로가 됨으로써 중요도가 증가한다. 그럼으로 가상(家相)에서 담(밀폐형)이 무너졌거나, 뚫리거나, 너무 높아도 흉하다고 보았다.
또 담은 1.5m 정도면 소음과 먼지를 막는 효과가 충분하고, 그 이상으로 높으면 일조와 통풍을 오히려 방해한다고 한다. 따라서 개방형 담의 경우는 대문이 기의 출입처가 될 수 없어 자연 산세의 수구(破)가 풍수상 대문의 역할을 하며, 밀폐형 담의 경우는 대문이 풍수상의 문(門)이 되어 길흉화복을 관장한다.
또 대문이 크고 집이 작으면 가난해지고, 대문이 작고 집이 크면 부자가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대문의 크기는 집 전체의 미관과 기의 흐름에 맞춰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대문의 색깔도 중요하다. 대문에 봄이면 〈立春大吉〉,〈龍·虎〉 등의 글자를 써 붙이는 것은 대문이 길흉화복을 부르는 장소로써 우리 삶에 중요한 요소를 내포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즉, 대문은 태극의 의미를 가지며 기의 출입구이자 기가 생성되는 근원으로 우주론적 의미와 흉액(凶厄)을 막는 운명론적 의미를 함께 갖음으로 색깔에도 세심한 배려를 기울였다.
현관은 대문을 통해 들어온 기를 방으로 공급해 주는 기의 출입구이다. 옛 고택의 중문에 해당되고, 현대와 같은 주거 형태에서는 대문보다 역할이 더 중요하다. 가상에서 현관을 대문과 일직선상에 배치하면 흉하다고 했는데, 고택의 경우 어떤 집도 솟을대문과 중문을 일직선상에 놓은 경우는 보지 못했다.
이것은 우리 조상들이 집을 짖는 지혜로 이것은 중문까지의 길을 복잡하게 함으로써 주인은 대문을 들어서며 제 집에 돌아왔다는 안도감을 가지고, 타인이 집을 방문했을 때 주인이 마음의 준비를 갖추기 위한 여유를 제공한다.
즉, 대문을 세우는 방위가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 주택에서는 현관을 중심으로 보아 대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여기서 밀폐형 담이면 대문이 풍수적으로 중요하고, 개방형 담이면 대문이 아닌 자연적인 수구를 대문으로 삼아 풍수적 길흉을 판단하니 대문이 없는 경우와 흡사하다.
대문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는 정원의 공간적 넓이와 높낮이들을 면밀하게 판단하여 그의 무게중심을 정확히 잡아야 한다. 만약 무게중심에 오류를 범하면 만사가 뒤틀리게 된다. 무게중심이 정해지면 그곳에 패철을 놓고, 현관을 주(主)로 보고 대문을 문(門)으로 보아 방위적 길흉을 『양택 3요』에 맞추어 길한 위치를 찾는다. 동서사택론과 음양론 그리고 오행론으로 보아 연년택과 생기택으로 현관과 대문의 위치를 잡는데,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로 고려한다.
가상에서, 〈크고 작은 집이든 입구가 있고, 뒷문이 없으면 영주(永住)할 수가 없다. 부부 중에 한 사람이 일찍 죽는다.〉라고 하였다. 그럼으로 협문은 현대 건축에서 고택의 뒷문 역할을 겸하고, 또 대문이 작아야 부자가 된다라는 말에도 합치된다.
따라서 대문에 협문을 단 형식을 추천한다. 고택 대문의 색깔이 붉은 점은 빨간 색은 잡귀의 범접을 막는 색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옛 것을 본 따 대문은 밤색 계통이 좋고, 솟을대문에 홍살(대문 위에 꽂은 창 모양의 나무)을 세운 경우가 많으니 대문 위에 쇠창을 세우는 것도 권할 만 하다.
현대 주택의 현관은 쪽문이 대부분인데, 고택의 중문과 방문은 양쪽 문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현대는 현관문을 양쪽 문으로 달기 어려우니, 자연스럽게 현관문의 크기가 중요하게 된다. 현관문의 크기는 정원의 기가 가장 길하게 실내로 들어오는 크기라야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황금 비율(Golden Section)을 적용하는데, 대문과 현관의 크기를 1 : 0.618, 혹은 0.618 : 0.382의 비율이면 적당하다고 여긴다. 단, 현관문은 안쪽으로 열리게 설계됨이 마땅하다. 문을 안으로 열면 손님에게 〈어서 들어오라〉는 환영의 뜻이 담기고, 타인에게는 실내를 쉽게 들여다보지 못하게 만들어 사생활이 보장된다.
대문은 주택을 외부와 경계짓는 역할을 하며, 풍수적으로 집 내부로 기(공기)가 출입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집을 지을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그러나 문제는 담에 따라 대문의 중요성은 달라지기도 하는데 있다.
개방형 담의 경우라면 기는 집의 사방에서 출입함으로 기의 통로로써 대문의 역할은 감소되고, 밀폐형 담장이라면 대문만이 오로지 기의 통로가 됨으로써 중요도가 증가한다. 그럼으로 가상(家相)에서 담(밀폐형)이 무너졌거나, 뚫리거나, 너무 높아도 흉하다고 보았다.
또 담은 1.5m 정도면 소음과 먼지를 막는 효과가 충분하고, 그 이상으로 높으면 일조와 통풍을 오히려 방해한다고 한다. 따라서 개방형 담의 경우는 대문이 기의 출입처가 될 수 없어 자연 산세의 수구(破)가 풍수상 대문의 역할을 하며, 밀폐형 담의 경우는 대문이 풍수상의 문(門)이 되어 길흉화복을 관장한다.
또 대문이 크고 집이 작으면 가난해지고, 대문이 작고 집이 크면 부자가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대문의 크기는 집 전체의 미관과 기의 흐름에 맞춰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대문의 색깔도 중요하다. 대문에 봄이면 〈立春大吉〉,〈龍·虎〉 등의 글자를 써 붙이는 것은 대문이 길흉화복을 부르는 장소로써 우리 삶에 중요한 요소를 내포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즉, 대문은 태극의 의미를 가지며 기의 출입구이자 기가 생성되는 근원으로 우주론적 의미와 흉액(凶厄)을 막는 운명론적 의미를 함께 갖음으로 색깔에도 세심한 배려를 기울였다.
현관은 대문을 통해 들어온 기를 방으로 공급해 주는 기의 출입구이다. 옛 고택의 중문에 해당되고, 현대와 같은 주거 형태에서는 대문보다 역할이 더 중요하다. 가상에서 현관을 대문과 일직선상에 배치하면 흉하다고 했는데, 고택의 경우 어떤 집도 솟을대문과 중문을 일직선상에 놓은 경우는 보지 못했다.
이것은 우리 조상들이 집을 짖는 지혜로 이것은 중문까지의 길을 복잡하게 함으로써 주인은 대문을 들어서며 제 집에 돌아왔다는 안도감을 가지고, 타인이 집을 방문했을 때 주인이 마음의 준비를 갖추기 위한 여유를 제공한다.
2.위치 선정의 방법 [사진 : 현대의 대문]
현대 주택에서 대문과 현관의 위치를 풍수적으로 길한 방위에 배치하는 방법은 이론적으로 간단, 명료하나 현장에서는 곤란한 경우가 간혹 있다. 특히 대문을 기존 도로와 인접해서 세워야하기 때문이다.즉, 대문을 세우는 방위가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 주택에서는 현관을 중심으로 보아 대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여기서 밀폐형 담이면 대문이 풍수적으로 중요하고, 개방형 담이면 대문이 아닌 자연적인 수구를 대문으로 삼아 풍수적 길흉을 판단하니 대문이 없는 경우와 흡사하다.
대문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는 정원의 공간적 넓이와 높낮이들을 면밀하게 판단하여 그의 무게중심을 정확히 잡아야 한다. 만약 무게중심에 오류를 범하면 만사가 뒤틀리게 된다. 무게중심이 정해지면 그곳에 패철을 놓고, 현관을 주(主)로 보고 대문을 문(門)으로 보아 방위적 길흉을 『양택 3요』에 맞추어 길한 위치를 찾는다. 동서사택론과 음양론 그리고 오행론으로 보아 연년택과 생기택으로 현관과 대문의 위치를 잡는데,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로 고려한다.
★ 대문과 현관은 일직선 상에 두지 않는다.
★ 도로는 물길임으로 집을 중심으로 좌우의 도로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대문에 직접 닿지 말아야한다. 즉, 도로의 바람이 스쳐 지나가는 지점에 대문을 세운다.
★ 도로의 경사를 고려해 차의 진입과 주차에 편리한 지점을 선택한다. 경사진 곳은 겨울에 도로가 얼어붙으니, 사고 위험이 높다.
★ 마굿간의 앞이 넓으면 길하다고 했으니, 현대식으로 풀이하자면 주차공간 앞쪽이 되도록 넓은 곳을 택한다.
★ 대문과 현관의 높이가 같아야 길하다. 현대 주택처럼 대문에서 현관으로 통하는 진입로를 계단식으로 만든 경우 흉하다고 본다. 비보가 필요하다.
3.대문과 현관의 크기 [사진 : 전원주택의 현관]
대문은 보통 두 쪽으로 달아 양쪽에서 열고 닫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즉, 고택의 솟을대문을 본딴 형식으로 어떤 경우는 한쪽 문에 협문을 달아 사람들은 협문을 통해 출입하도록 배려하였다.가상에서, 〈크고 작은 집이든 입구가 있고, 뒷문이 없으면 영주(永住)할 수가 없다. 부부 중에 한 사람이 일찍 죽는다.〉라고 하였다. 그럼으로 협문은 현대 건축에서 고택의 뒷문 역할을 겸하고, 또 대문이 작아야 부자가 된다라는 말에도 합치된다.
따라서 대문에 협문을 단 형식을 추천한다. 고택 대문의 색깔이 붉은 점은 빨간 색은 잡귀의 범접을 막는 색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옛 것을 본 따 대문은 밤색 계통이 좋고, 솟을대문에 홍살(대문 위에 꽂은 창 모양의 나무)을 세운 경우가 많으니 대문 위에 쇠창을 세우는 것도 권할 만 하다.
현대 주택의 현관은 쪽문이 대부분인데, 고택의 중문과 방문은 양쪽 문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현대는 현관문을 양쪽 문으로 달기 어려우니, 자연스럽게 현관문의 크기가 중요하게 된다. 현관문의 크기는 정원의 기가 가장 길하게 실내로 들어오는 크기라야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황금 비율(Golden Section)을 적용하는데, 대문과 현관의 크기를 1 : 0.618, 혹은 0.618 : 0.382의 비율이면 적당하다고 여긴다. 단, 현관문은 안쪽으로 열리게 설계됨이 마땅하다. 문을 안으로 열면 손님에게 〈어서 들어오라〉는 환영의 뜻이 담기고, 타인에게는 실내를 쉽게 들여다보지 못하게 만들어 사생활이 보장된다.
<자료제공 사단법인 대동풍수지리학회 고제희 원장>
|
'풍수지리.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인ㆍ부자 나오는 '완사명월형'자리 (0) | 2015.01.30 |
---|---|
복받는 아파트 조경 (0) | 2015.01.30 |
주택 내부의 평면배치 (0) | 2015.01.30 |
건물의 형태와 좌향 (0) | 2015.01.30 |
건강 아파트 만들기 (0) |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