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시리즈

[변곡점 부동산시장]⑤주택 자산, 거주에서 투자로 인식 변화'투자 수익성' 연일 증명하는 '주택'..전망과 투자 트렌드는?

ngo2002 2021. 3. 25. 07:58


"올해보단 내년 이후..신도시 청약·수도권 신규 역세권 주목"

뉴스1|박승희 기자|입력2021.03.25 07:00|수정2021.03.25 07:00

[편집자주]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전국 83만 가구를 공급하는 2·4 공급대책을 발표했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땅투기 사태로 정책 신뢰에 금이 갔다. 그러나 정부는 2·4 대책을 포함한 주택공급대책을 일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뉴스1>은 저금리, 임기 마지막해, 전국으로 확산한 LH 사태 등 변곡점을 맞이한 부동산 시장을 진단한다. ?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본사 앞에서 인터뷰를 하기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0.9.24/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현 정부가 추구하는 부동산 철학은 '집은 사는(buy) 곳이 아닌 살아가는(live) 곳'이라는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하지만 정부의 바람와 달리 집값은 연일 오르며 확실한 '투자 수익성'을 보여줬고, 주택은 투자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유동성 장세와 저금리 장기화 속에서 주택 가격은 급등했다. 정부의 2·4 공급대책 영향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공시가격 급등까지 더해지면서 아파트값 상승 폭은 6주 연속 줄었지만, 우상향 추세는 이어지고 있다.

주택 가치가 연일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주택은 투자형 자산으로서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수요자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10월 발간된 KB금융 경영연구소의 '2020년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부자의 부동산 자산 중 주택을 투자용으로 구입한 경우는 10년 전인 2011년 대비 13.4%에서 18.2%로 늘어났다. 수익형 부동산인 빌딩이나 상가보다도 주택 자산 비중이 확대됐다.

부자가 아니더라도 주택 투자에 관심이 높다. 2030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족은 요 몇 년간 서울 중저가 아파트 공급을 흡수했다. 상품성 있는 주택은 초기에 진입해 보유하지 않으면 1~2년 뒤엔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상황까지 가격 격차가 벌어진다는 것을 체득한 탓이다.

하지만 주택 구매를 언제,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는 나날이 불확실함만 더해가고 있다. 김규정 한국투자 자산승계연구소장은 "변수 중 하나였던 국내 공급 계획과 수급 상황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투자자나 내 집 마련 수요자들이 의사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정부가 2·4 대책을 통해 대규모 공급 대책을 내놓았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으로 공급 계획의 확실성이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이에 시장은 관망과 거래 소강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 소장은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최선의 투자를 하려면 전망과 트렌드를 잘 살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소장은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오는 25일 뉴스1 2021 건설부동산포럼에서 '주택 시장 전망과 투자 트렌드' 주제로 강연한다. 이번 포럼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치러진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경기회복과 개발 호재, 선거 등 상승 요인이 더 크다"며 "장기적으로는 금리 인상이 급격하진 않을 것으로 보여 실질적으로는 수급이 변수인데, 최근 2·4 대책 흐름이 불확실하다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가격이 급락할 뚜렷한 변수는 없어 올해 주택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김 소장은 "가격 측면에서는 기존 재고 아파트 가격보다 저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신도시 청약이나 세금 부담으로 인한 조정 매물을 공략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철도나 도로 사업 계획이 많은 경인 지역 등 수도권 신규 역세권에 주택 투자를 겸한 내 집 마련도 이슈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시기에 대해서는 "올해는 가격 변동률이 높진 않을 것으로 예상돼 서두르진 않아도 될 것 같다"며 "가격 하락을 기다리는 수요자는 올해보다는 내년 이후를 노리는 게 좋다"고 말했다. 공급 상황을 보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자산 분배에 나서야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김 소장은 절세 팁에 대해서는 "'똘똘한 1채'와 같은 장기 보유성이 있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증여나 신탁 같은 방법도 절세 전략으로 쓸 수 있다는 점도 부연했다.

© 뉴스1

seunghe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