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부동산 경매시장까지 '냉기'
주택경매 물건 2배 이상 늘고
낙찰률·낙찰가율은 급락

10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도에서 법원 경매 시장에 나온 아파트와 연립주택, 단독주택 등 주거시설은 모두 668건이었다. 2017년 208건, 2018년 302건과 비교하면 1년 만에 무려 2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낙찰률은 주저앉고 있다. 작년 제주도 주택 경매 낙찰률은 32.3%에 그쳤다. 물건이 나와도 3건 중 2건이 유찰됐다는 뜻이다. 2017년에 53.5%였던 낙찰률은 2018년 44.4%로 떨어진 데 이어 매년 10%포인트씩 뚝뚝 떨어지고 있다. 낙찰가율 하락 속도는 더욱 가파르다. 2017년만 해도 109.7%였던 제주도 주택 낙찰가율은 2018년 91.1%, 2019년엔 74.1%까지 내려앉았다.
예를 들어 제주시에서도 중심가인 이도2동 전원파크맨션은 두 차례 유찰된 후 지난해 말 감정가(2억5100만원)의 71%인 1억8510만원에 낙찰됐다. 숙박업소와 음식점 등 업무·상업시설 경매 시장 역시 분위기가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480건이 경매 시장에 나와 135건이 낙찰돼 낙찰률이 28.1%에 불과했다. 재작년과 낙찰률(29.8%)은 비슷하지만 물건 개수(188건)가 크게 늘었다. 2017년엔 112건 중 46건이 낙찰되면서 낙찰률이 41.1%에 달했다. 낙찰가율 역시 2017년 64.9%에서 2018년 54.7%로 떨어진 후 5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5~6차례 유찰되는 경우도 많이 생겼다. 서귀포시 법환동의 비스타케이호텔은 감정가가 3억7000만원으로 매겨졌지만 6차례 유찰됐다. 그 결과 감정가의 22%인 8311만원에 비로소 새 주인을 찾았다. 제주도 부동산 침체는 다른 지표에서도 확인된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올해 표준주택 공시가격에 따르면 제주도 표준주택은 1.55% 떨어지며 2009년 이후 11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손동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푹 꺼진 제주 부동산… “반전도 어려워” (0) | 2020.02.11 |
---|---|
한때 부동산 투자 메카였던 '제주', 하락의 끝은? (0) | 2020.02.11 |
서울 아파트 값을 올린 이는 바로 '서울시' (0) | 2020.02.06 |
2020년 부동산세금절약 세법개정내용과 절세방안 (0) | 2020.02.06 |
2020년 어떻게 될까 주택시장전망 및 투자전략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