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부동산통계

2013년 이후 6년 만에 “내년 수도권 집값 하락”

ngo2002 2018. 12. 10. 10:11

2013년 이후 6년 만에 “내년 수도권 집값 하락”

인쇄

건설산업연구원 “0.2% 떨어질 것”전망

DA 300

내년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거시경제 불안 등의 영향으로 6년 만에 하락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정부가 대출·세제·청약 등 전방위 규제를 담은 9·13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후 시장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나온 민간 연구기관의 분석이라 주목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7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19년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올해보다 1.1%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권 집값은 올해 3.1% 오르겠지만 내년엔 0.2%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셋값 하락, 거래 감소가 신호탄


실제 내년도 수도권 집값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면 이는 2013년 이후 6년 만이다. 지방의 경우 누적된 준공 물량이 많아 올해(-1.2%)보다 하락 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허윤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글로벌 통화정책, 거시경제 여건 등을 종합할 때 부동산 시장의 ‘나 홀로 상승’이 종료될 가능성이 크다”며 “런던·시드니·밴쿠버 등 세계 주요 도시 집값도 지난 8월 이후 모두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건산연이 수도권 집값 하락을 점친 근거는 대내외 경제 상황, 부동산 규제 등 복합적이다. 국내 변수론 대출 규제가 꼽힌다. 9·13 대책으로 1주택자도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의 집을 한 채 더 살 때 원칙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게 됐다. 여기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로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70%를 넘지 않도록 대출 심사가 까다로워져 집을 사려는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건산연은 분석했다.
  
실제 이미 집값 하락의 전조가 곳곳에서 감지된다. 크게 주택 거래량 감소와 전셋값 약세, 주택 인허가 감소 등이다. 대부분 부동산 시장에서 집값 또는 주택 경기의 선행지표나 동행지표로 통하는 지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212건(계약일 기준)으로, 9월(6702건)의 18.1%에 그쳤다. 신고 기한이 ‘계약 후 60일’로 시차가 있는 점을 고려해도 거래가 크게 준 셈이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수도권 집값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거시경제 불안, 각종 규제 등이 발목을 잡을 것으로 봤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한 중개업소 시세판.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내린 것도 집값이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데 힘을 싣는다. 한국감정원 집계 결과 지난달 마지막 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01% 떨어졌다. 주간 하락은 지난 6월 이후 4개월 만이다. 가을 이사 수요가 많은 10월 말에 전셋값이 내린 건 감정원이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입주 물량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부동산114 조사 결과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3만6000여 가구로 지난해보다 30% 넘게 늘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전셋값 하락은 매매가격 조정의 신호탄”이라며 “전세보증금을 끼고 집을 사려는 수요가 줄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건설사가 집 짓는 것을 꺼리는 점도 집값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지난 9월 수도권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6524가구로 지난해 9월보다 45.5% 줄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부동산 경기가 약 10년 단위로 상·하향 사이클을 탄다고 볼 때 지금은 집값이 급등한 뒤 하락하기 직전인 2006년과 닮은꼴”이라며 “상승 흐름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건산연은 서울 집값 하락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각종 악재에도 시장에 매물이 많이 늘지 않을 것으로 봤다. 허 연구위원은 “자산가들이 양도세 중과, 증여 등 영향으로 집을 팔지 않고 장기 보유를 선택하면 매물 부족으로 서울 집값이 쉽게 내려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 경기도 위축


건산연은 내년 국내 건설수주가 올해보다 6.2% 줄어 5년 내 최저치인 135조5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건설투자는 2.7% 감소할 전망이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 경기 경착륙이 가시화하고 있다”며 “거시경제와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SOC(사회간접자본) 예산을 증액하는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