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핫이슈
친구를 뜻하는 비슷한 글자로는 아(雅)와 교(交)도 있다. 전자는 ‘평소’라는 뜻에서 우정이라는 의미로 진화했다. ‘일일지아(一日之雅)’라고 하면 ‘한 번 만난 사이’가 된다. 교는 쓰임새가 제법 많다. 고교(故交), 구교(舊交) 등으로 친구를 표시한다. 새로 사귄 친구는 신교(新交)다.
사이가 아주 가까운 벗은 지우(至友), 지교(至交)다. 뜻과 기질 등이 서로 통해 막역한 사이로 발전하면 집우(執友)가 된다. 아버지의 친구는 부집(父執)으로 불렀다. 벗이기는 하지만 경외감을 품게 할 정도로 학식과 도덕적 수준이 뛰어난 친구는 외우(畏友)다. 나의 잘못을 엄격하게 지적해 고치게끔 하는 고마운 친구는 쟁우(諍友)다.
어렸을 적 친구가 오래간다고 했다. 그 친구는 총각교(總角交)다. 총각 시절에 맺은 친구다. 죽마고우(竹馬故友)도 잘 알려진 말이다. 대나무 말, 죽마 자체가 어렸을 적 친구를 뜻한다.
나이가 크게 차이가 나면서도 친구로 맺어지면 망년교(忘年交)다. 금석교(金石交)는 쇠와 돌처럼 변하지 않는 우정을 지칭한다. 그런 친구는 석우(石友), 석교(石交)라고 불렀다. 어려웠을 적 사귄 친구는 포의교(布衣交), 아주 가까워진 사이는 막역교(莫逆交), 목을 내놓고라도 상대를 지켜주는 우정은 문경교(刎頸交)다.
‘두 사람이 함께 길을 가면 그 날카로움은 쇠를 끊고, 마음이 한데 어울려 내놓는 그 말의 향기는 난초와 같다’는 말은 유명하다. 그래서 나온 말이 금란지교(金蘭之交)다. 달리 난교(蘭交)라고도 부른다.
전체적으로는 도움 주는 친구와 손해를 끼치는 친구가 있다. 앞의 친구는 익우(益友), 뒤는 손우(損友)다. 겉으로는 함께 어울리고 있지만 마음은 서로 다른 곳을 향하고 있는 사이는 면우(面友), 면붕(面朋)이다.
국회의사당 본회의장에서까지 얼굴을 붉히며 싸워대는 한나라당 친이(親李), 친박(親朴)은 손우 아니면 면붕일 것이다. 어쩌면 근본적으로 서로 벗할 수 있는 사이가 아니었을지도 모르고.
유광종 중국연구소 부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