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버블설', 이번에도 주식시장 강타할까
◆10년 주기 하락장 재연될까
국내 증시는 1975년부터 1978년까지 건설주 중심의 버블이 있었고, 1985년부터 1988년까지 금융·건설·무역주 중심의 버블기를 거쳤다. 건설주 버블은 1980년 경기가 침체 되면서 주가가 폭락했고 금융주 버블은 1989·1990년 증시 침체로 막을 내렸다. 1999년에는 IT·벤처 기업 버블이 있었다. 이 버블은 2002년 붕괴됐다. 2006년부터 2007년은 중국 관련주가 몸값을 올렸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로 폭락했다.
버블을 만든 것은 증시가 활황기에 접어든 2016년의 ‘3저 현상’인 저금리와 저유가, 유동성 강화 등이다. 이는 버블이 오기 전에 반드시 나타나는 특징이었다. 버블 붕괴조짐도 있었다. 미국의 금리 인상과 유가 상승 등이다. 증권가는 버블이란 표현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나타내면서도 시기적으로는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세간에 떠도는 10년 주기 버블설이 진짜 있구나 싶다”면서 “실제 지난해부터 급등했던 반도체업종과 제약·바이오업종 등 몇몇 업종이 올해 중순부터 큰폭으로 하락했다. 또 금리와 유가 등이 올랐다 떨어지는 모습도 과거 버블·버블 붕괴 당시와 유사한 흐름”이라고 말했다.
다만 버블은 투기 때문에 실제 경제상황과 동떨어져 넘치는 시세나 경기를 뜻한다는 점에서 현재 국내 증시와는 다소 동떨어졌다는 반응도 나온다. 현재 국내 증시의 낙폭은 과거와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8년 10월에는 1일부터 27일까지 코스피 지수가 1453.40포인트에서 892.16포인트로 38.6% 폭락했다. 대림산업, 대우조선해양 등 몇몇 종목은 하락률이 80%를 넘기기도 했다. 선물시장이 급변할 때 프로그램 매매를 5분간 중단시키는 사이드카와 지수가 하루에 10% 이상 급등락할 때 울리는 서킷브레이커가 당시 한달 동안 무려 23번 울리기도 했다.
현재 상황을 과거와 같은 버블붕괴로 보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많지만 내년 전망이 밝지 않아 국내 증시가 또 다시 출렁일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금융위기 같은 뚜렷한 이상 징후가 없는데 증시가 급락한다는 것은 우리 기업에 모멘텀이 고갈됐다는 뜻”이라며 “시장 분위기가 현재를 저점으로 보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추가적인 하락장세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먹구름 낀 내년 경제 상황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경제연구실은 내년 비금융 상장기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올해 대비 각각 4.1%, 1.9%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영업이익 성장률이 2015년 14.3%, 2016년 18.1%, 지난해 28.2%, 올해(추정치) 9.9% 와 비교해 지난해를 고점으로 올해와 내년 모두 점차 하락한다는 이야기다.
이는 반도체와 소재(석유화학, 철강)는 공급과잉의 부담이 커져 주요 제품의 마진이 축소되고 음식료와 건설은 내수 부진에 따른 성장 정체와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 데 따른 것이다.
내년 기업실적의 주요 변수는 반도체와 소재 업종의 둔화와 자동차업종의 판매 회복 정도다. 특히 주요 소비처인 중국의 수요 둔화 위험이 높아 이익 전망치의 하향조정 가능성도 존재한다. 상장기업의 이익개선 모멘텀 둔화로 설비투자는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의 자금수요는 중소규모 기업의 운영자금 위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경제연구원도 비슷한 분석자료를 내놨다. 내년 글로벌 경기호조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업들은 글로벌 초과공급에 대비한 조정압력에 따라 투자규모를 줄여 나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유인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수출을 하지 않는 내수기업들 역시 국내 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투자규모를 줄이고 있다.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대내외적 경기가 점차 하향하는 가운데 장기화되는 국제무역 갈등이 불확실성의 증대를 초래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리스크로 인해 기업들은 투자에 섣불리 나설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당초 예정됐던 투자계획마저도 줄줄이 취소되거나 지연되는 실정이다. 도무지 투자에 대한 증설유인을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66호(2018년 11월14~20일)에 실린 기사입니다.
박기영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동산 > 부동산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코노미] 전셋값 통계 작성 이래 최대폭 하락..'역전세난·깡통주택' 속출 (0) | 2018.11.21 |
---|---|
집 다섯채 이상 다주택자 11만5000명 (0) | 2018.11.19 |
[김현정의 부동산은 처음이라]"너희 집 얼마야?" 답은 4가지가 있다 (0) | 2018.11.16 |
[집코노미]유동성 잔치 끝난 세계 부동산 시장..한국은? (0) | 2018.11.16 |
전국 빈집, 126만4707채로 부쩍 늘어…수도권은 공급 계획 주택 수보다 많아 (0) | 2018.11.13 |